기초연금 탈락 사유는? 내가 왜 못 받는 걸까?
안녕하세요!!!
건강지킴이입니다 😊
“기초연금 신청했는데, 왜 탈락됐지?”
“국민연금 받는 것도 아닌데, 기초연금도 안돼요?”
기초연금은
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인데요.
기초연금 신청 후
‘탈락’ 통보를 받으면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죠.
오늘은 기초연금 탈락 사유와 주의해야 할 포인트를
정리해 드릴게요!
기초연금이란?
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
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분들께
매월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되는 복지제도입니다.
🚫 기초연금 탈락 사유 TOP 5
1. 소득인정액이 기준을 초과한 경우
- 가장 흔한 탈락 이유입니다.
<2025년 기준 소득인정액 기준>
-단독가구: 약 213만 원 이하
- 부부가구: 약 341만 원 이하
여기서 말하는 ‘소득’에는 근로소득, 연금, 이자소득,
그리고 자동차, 부동산, 예금 등 재산의 환산액까지 포함돼요.
2. 재산은 많은데 소득이 없는 경우
- “나는 돈을 버는 것도 없는데 왜 탈락이죠?”
→ 재산이 많으면 그것을 소득으로 환산해서 계산합니다.
예: 본인 명의 부동산이 있거나, 예금이 많은 경우
→ 아무리 소득이 없어도 기준 초과로 탈락할 수 있어요.
3. 국외 거주자 or 외국 국적
- 기초연금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분이면서
국내에 거주하는 경우에만 지급됩니다.
→ 해외 장기 체류자나 외국 국적 취득자는 수급 불가!
4. 연령 미달 (만 65세 미만)
- 신청 시점에 만 65세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,
신청해도 수급이 불가능합니다.
→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기준!
5. 중복 수급 불가한 경우
-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를 받는 경우
기초연금이 중복으로 지급되지 않습니다.
다만, 주거급여나 교육급여만 받는 경우엔
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.
💬탈락 이유는 꼭 확인하세요!
기초연금 신청 후 탈락하면,
국민연금공단이나 주민센터에서
탈락 사유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이걸 통해 본인이 왜 탈락했는지
정확히 파악해야 재산 정리나 소득 구조 조정을
통해 재신청 시 대비할 수 있어요.
💬 다시 신청할 수 있을까?
YES!
기초연금은 연 1회 이상 재신청 가능해요.
예를 들어, 자동차를 처분하거나 예금을 정리했다면
소득인정액이 낮아져서 다음에는 받을 수 있는 가능성도 있습니다.
✅ 정리하면!
소득초과 | 기준금액 초과 시 탈락 |
재산 과다 | 소득은 없어도 환산소득으로 계산됨 |
해외거주 | 국내 거주 요건 미충족 |
연령 미달 | 만 65세 생일 이전 신청 |
생계·의료급여 수급 | 일부 중복 수급 불가 |
기초연금은 노후의 소중한 지원금입니다.
한 번 탈락했다고 포기하지 마시고
상황이 바뀌면 다시 신청해 보세요!
궁금한 내용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고
다음 글에서는 "기초연금 신청 방법"에 대해 알려드릴게요!!!
늘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! 💚